오늘 소개해드릴 그림은 진정한 산수화의 거장 겸재 정선의 동작진도입니다.
현재와 관련하여 동작대교 북단에서 한양(의식정원)을 마주하고 있는 실제 산수화이다.
좌우로 산들이 마을을 따뜻하게 감싸 안고 있고 그 앞에는 한강이 흐른다.
동작항은 수도에서 삼남지방으로 가는 주요 나룻배(도로)였다.
이곳은 이몽룡이 장원과제를 마치고 왕궁으로 가는 길에 남원으로 갔던 곳이기도 합니다.
노량진은 정조가 부친인 사도세자가 모셔져 있는 수원 융릉으로 가는 길에 지나갔던 곳이기도 하다.
동작구 노량진 노들나루에 배다리를 설치한 사람은 유명한 선생 정약용이다.
2021년 6월 21일 서울에서 열린 제161회 경매에서 개인 소유의 이 그림이 낙찰되었습니다.
강서구가 입찰해 4억4000만원에 낙찰됐다.
겸재정선미술관은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에 오시면 겸재 정선의 순정 산수화 약 24점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겸재 정선은 영조 때 현 강서구청장에 해당하는 5년 동안 양천군수를 지냈다.
이때 그는 화폭에 그 지역의 풍경을 그린 여러 작품을 남겼다.
묘지에서 만나는 풍수 명당의 역사
안창빈의 묘는 산의 기운이 내려와 그를 감싸안는 묘역 중앙에 있다.
산이 보이는 이곳
멀리 관악산이 우뚝 서있다.
한강 건너 삼각산을 바라보면 관악산의 용기가 뻗고 펼쳐진다.
한강을 앞에 두고 이곳의 주산인 서달산을 지나면 동작진에 이른다.
경혈을 덮기 위해 양쪽에 용맥이 퍼져 있습니다.
마치 공작이 알을 낳는 모습을 닮았다고 해서 공작새형 경혈이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군인과 장군, 대통령의 묘소가 묻혀 있는 국립묘지에 위령비가 있다는 것은 조금 낯설다.
그것은 원시 보인다.
이 무덤의 주인은 누구이며 안창빈 씨는 이곳에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요?
사실 이 묘지의 주인은 안창빈이다.
안창빈은 조선 14대 선조와 초대 대원군인 덕흥 대원군의 할머니이다.
어머니.
11세에 궁궐에 들어가 왕비를 모시며 성품이 온화하고 왕가의 장로들에게 예의바르더라.
잘생기고 중종의 승은을 걸치고 후궁이 된다.
슬하에 영양군, 신영공주, 덕흥대원군의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명종의 단명 이후 선조는 방계에서 첫 번째 왕이되었습니다.
이후 조선은 이 혈통을 통해서만 이어져 왔다.
선조가 왕이 되었을 때 2차 후손이 왕위를 계승하는 첫 사례였기 때문에 장안에서 큰 이슈가 되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사에 있는 할머니의 묘를 이용하여 왕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일반적이다.
이 시기 선비들은 낮에는 유교 경전을 공부하고 밤에는 풍수를 논했다고 한다.
풍수는 생활과 관련된 학문으로 조선시대 다양한 학문 중 하나였다.
가지를 관리하는 정식 관리가 있었고 특히 왕릉, 정원 및 무덤을 만들 때 풍수를 따라야합니다.
매장지가 선택되었습니다.
특히 조선 전기의 세조(대군 수양), 조선 후기의 정조, 흥선대군 대원군은 풍수에 정통했다.
그들은 풍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따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겸재 정선의 산수화인 동작진 풍수지에 대한 이야기다.
오늘도 잘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